※이 기사는 영화를 보신 분께 추천 합니다. 영화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포함되어져 있습니다.
28일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리얼>에 출연한 배우 김수현과의 인터뷰가 있었다. 드라마 <드림하이>, <해를 품은 달>, <별에서 온 그대>를 통해 한류 스타로 우뚝 서고 영화 <도둑들>, <은밀하게 위대하게>로 스크린에서도 존재감을 증명한 김수현의 4년만의 스크린 복귀로 영화 <리얼>을 택했다. 드라마 <프로듀사> 이후로는 2년만의 작품이다. 2년의 공백기간 동안 김수현은 프로볼러 도전으로 언론에 노출되는 독특한 행보를 보이기도 했고 이로인해 MBC예능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서 볼링대결을 펼치며 '잘빙'(잘생긴 빙구)이라는 새로운 별명을 얻기도 했다. 영화 <리얼>의 언론시사 이후 쏟아지는 혹평세례, VIP시사 무대 인사에서 갑작스럽게 눈시울을 붉힌 모습, 영화의 일부 장면 유출 사건 등 요란스러운 복귀신고식을 치르고 있는 김수현을 만났다. 어떤 생각으로 영화를 선택했고, 지금 심경은 어떨까? |
Q. 이미 언론시사회에서도 답변을 했지만 이상하게 자꾸만 되묻고 싶은 질문이다. 이 영화를 선택한 진짜 이유는 무엇인가?
A. 캐릭터가 갖고 있는 매력을 직접 소화하고 싶은 욕심에 작품을 선택했다. <별그대>의 경우 외계인, 400년 전 설정, 교수 등의 요소로 도전했다면 이번의 도전 종목이 좀 달랐다. 딱히 어떤 장르라서 선택하지는 않는다. 장르는 가리지 않고 고루 좋아하는 편이다.

A. 한마디로 하면 육체적으로 많이 힘들었다. 다른 작품은 캐릭터 하나만 가지고도 많은 고민을 하는데 이번 영화는 내가 연기해야 할 캐릭터가 여러개 였다. 한 영화에서 여러 캐릭터를 연기할 수 있어서 욕심냈던 부분이긴 한데 여러 캐릭터들의 매력, 그 캐릭터 각각의 색깔을 고민하느라 시간도 노력도 몇 배가 들었다. 캐릭터들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꽤 에너지를 많이 소비했다.
가장 먼저 만든 캐릭터는 수트 장태영이었다. 항상 내리깔고 명령하듯 말하는 인물로, 그 덕분에 선배님께 욕도하고 명령도 해봤다. (웃음) 본체에서 파생된 인물인데 에너지가 넘쳐나서 항상 껌을 씹거나 고기를 씹으면서 에너지를 소모하는 인물로 설정했다.
그 다음으로 만든 건 장태영 본체인 르포작가인데, 설정상 그는 굉장한 일중독자였다. 평소에는 소극적인 인물이지만 일거리에만 눈을 반짝이는 인물이다.
붕대인간은 따라쟁이의 본체인데, 이 본체의 취향은 나르시즘도 있고 선이 고운 인물인 설정이었다. 따라쟁이 오디오의 목표는 듣는 사람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말을 늘였고 제스추어도 보기 불편하게 했다. 상처난 얼굴을 가리려고 가면을 썼는데 그 가면조차 화려한 보석 가면을 쓸 수 있는 그런 인물인 것이다. 이런 인물에게 적당한 목소리나 제스추어라고 생각했다.
Q. 워낙 촬영 분량이 많았고, 대부분의 씬들이 힘들게 촬영 했을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가장 공들여 준비를 했던 씬이나 기억에 남는 씬은 무엇인가?
A. 가장 에너지를 많이 썼던 씬도 가장 기억에 남는 씬도, 개인적인 의견이 가장 많이 반영된 씬도 모두 화장실씬이다. 그 장면은 두명의 장태영 중 수트 장태영이 자기가 진짜라는 믿음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그 장면에서 가장 에너지를 많이 쏟았다. 어떤 장태영이건 간에 어짜피 김수현의 얼굴이라 똑같이 보이겠지만 표정이나 제스추어로 다른 인물을 표현했어야 했다. 그 장면이 복잡한 것이 또 화장실이라 앞에 거울도 있었다. 거울을 통해서도 두명의 장태영이 있다는 걸 보여주려고 신경을 많이 썼다. 믿음이 깨지는 걸 어떻게 표현하나 고민하다가 여러가지 표정과 공허한 웃음으로 해봤다.
또 다른 장면을 꼽자면 후반부에 송유화가 죽고 나서 장태영이 카지노로 차를 몰고 달려가는 장면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영화를 통틀어 감정이 오롯이 표출되는 장면이었다.

Q. 김수현의 다양한 모습이 보여지는 영화인데, 혹시 본인이 가장 섹시하게 보여졌다고 생각하는 씬이 있는가?
A. (당황, 부끄, 살짝 숨 멈추었다가) 첫 등장이 가장 섹시하게 느껴졌다.
Q. 쉽게 촬영한 장면은 없었을 것 같아 우열을 가리기 힘들겠지만, 이 영화를 촬영하면서 정말 힘들었던 것은 무엇인가?
A. 가장 어려웠던 것은 무서운 대본을 이겨내는 것이었다. 그리고 나서는 쎈장면들을 극복하는 것. 쎈 장면에 먹히지 않으려고 계속 노력했다. 물론 노출씬도 부담이긴 했다. 하지만 부담스럽거나 겁이 나거나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들어지더라도 정답은 정해져 있었기에 그걸로 이겨낸게 아닌가싶다. 이미 대본이 다 있는 거라 대본대로만 하면 되는 거였다. 단지 표현할 방법만 찾으면 되니까, 그런걸 찾는데 노력을 많이 했던 것 같다.
1인 2역이지만 서로 다른 캐릭터를 하루에 번갈아 촬영했던게 오히려 다행이었다. 촬영 당일은 에너지가 두배로 소진되기는 했다. 두 캐릭터가 서로 대사를 주고 받는데 분명 내가 연기하는 건데도 붕대 장태영의 대사 길이와 수트 장태영의 대사 길이가 달라서 처음에는 오디오가 물려서 애를 먹었었다.
Q. 대부분의 씬들을 직접 촬영하였나?
A. 붕대를 감은 장태영, 수트를 입은 장태영, 로포 작가인 장태영 모두 직접 촬영했다. 하지만 영화 후반부의 안무 부분은 전문가분과 함께 촬영했다. 그 장면은 합을 짠다고 하기보다는 스스로 안무라고 생각했다. 내 몸이 그렇게까지 부드럽지 못해서 도움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Q. 영화 러닝 타임이 135분인데 삭제된 씬도 있다. 촬영 기간이 길었을 것 같다.
A. 촬영은 6개월 정도 걸렸는데 체감상으로는 1년 반정도 걸린 것 같다. (웃음) 물론 시나리오를 처음 접하고 공부한 시간까지 따진다면 1년 정도 영화에 시간을 할애했다. 크랭크인하기 3개월 전부터 액션씬을 위해서 복싱 연습을 시작했었고, 안무는 숙지하는데 한달 넘게 걸렸다.
Q. 오랜 시간 촬영하면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는가?
A. 세트장, 장소 헌팅때문에 팔도유람 하듯이 지방을 많이 다니며 촬영했었다. 지역별로 테마가 있었다. 부산은 액션, 대전은 수중, 영종도는 카지노... 이런식으로 테마가 있어서 스탭들과 같이 차를 타고 환호하며 신나게 다녔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인터뷰 ②편 이어보기
☞인터뷰 ③편 이어보기
iMBC연예 김경희 | 사진제공 코브픽쳐스
※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제, 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