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로 만나는 드라마 속 상식!"
포토 하나, 지식 하나! 드라마 속 장면에 숨은 다양한 지식들을 공유해요!
가면을 쓴 세자, 그리고 그와 같은 이름을 가진 천민. 매혹적인 티저영상을 공개하면서 벌써부터 시청자들의 많은 기대감을 불러 일으키고 있는 드라마 <군주-가면의 주인>. 특히 극중 세자 이선(유승호)과 천민 이선(엘)은 이름부터 비슷해서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물론 발음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한문(세자 이선은 '李愃', 천민 이선은 '異線')이지만요. 하지만 만일 세자가 왕이었다면, 발음도 비슷한 이 이름조차 회피했을 지도 모른답니다. 왜일까요? 바로 조선시대에 '사용 금지' 이름의 법칙이 있었기 때문이지요. "왕의 이름을 피해라", 자칫 개명까지 해야 했던 이 법도에 대해 알아봅니다.
▶ 이 장면 속 '오늘의 지식' :: "왕의 이름은 누구도 사용할 수 없다", 피휘법(避諱法)
피휘법(避諱法)이란?
이혈, 이융, 이환.. 좀처럼 듣기 어려운 희귀한 이름과 한자까지, 조선시대의 왕들이 이렇게 이름을 지었던 이유는 바로 '피휘법'때문이었습니다. 피휘한, 피할 피 "避" 꺼려할 휘"諱"를 사용해 피해야 할 단어를 지칭한 단어랍니다.
피휘법은 임금의 이름에 들어간 한자를 백성이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법도였는데요, 이 경우 문장과 이름에도 해당 한문을 사용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설령 임금님보다 먼저 이름을 지었다고 해도 마찬가지) 이렇게 왕의 이름자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한 조처를 국휘(國諱)라고 칭했고, 만일 피휘를 무시하면 불경죄에 해당되어 곤장을 맞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만일 이 한자가 널리 사용된다면 많은 백성들에게 고충이 따르겠죠. 그래서 왕들은 이름을 지을 때 글자의 획 일부를 생략하거나, 잘 사용하지 않는 글자인 벽자(僻字)를 사용해서 이런 일을 방지했다고 합니다.
디테일한 비밀도 놓칠 수 없다! 똑똑한 시청자들이라면 이제 '한컷탐험대'로 한걸음 더 깊게 알아봅시다!
MBC 새 수목드라마 <군주-가면의 주인> 5월 10일 밤 10시 첫 방송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