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고객센터 등) 바로가기

‘오키쿠와 세계’ 감독 “가난하고 무시당할지라도 자유 갈망하는 결말 내고 싶었다”

기사입력2024-02-28 15:03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링크 복사하기
올해 제97회 키네마준보 일본영화 BEST10 1위에 빛나는 ‘오키쿠와 세계’의 사카모토 준지 감독이 24일(토)부터 26일(월) 3일간 봉준호 감독, 유지태 배우 등과 함께 한국 관객들을 만났다.

iMBC 연예뉴스 사진iMBC 연예뉴스 사진

지난 25일(일) 진행된 봉준호 감독과의 대담에서는 ‘봉테일’이라는 별명답게, 영화 곳곳에 숨겨진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섬세한 연출을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이를테면, 영화의 리듬감을 생성하는 컬러 장면을 기습적으로 삽입한 연출 의도가 무엇인지, 3년간 서장과 종장을 포함하여 총 9장의 이야기를 나눠 찍으면서 새로운 챕터를 써 내려갈 때 어떤 리듬으로 이어갈지 고민했던 시간들 되짚어보거나 영화 전체의 묘한 운율을 형성하는 듯한 아름다운 인서트 샷들을 어느 위치에 어떻게 넣고 어떤 박자로 조절했는지 등과 같은 선배 감독에게 엿들을 수 있는 작업적인 비밀들을 물어보았다.

또한, 쿠로키 하루가 연기한 오키쿠를 “특유의 생명력이 있는데, 여자로서의 부끄러움이나 수줍어하는 면모도 있고, 몰락한 사무라이 가문의 딸로서 이미 상처를 갖고 있는 소심한 측면과 주민들 앞에서는 똑 부러지게 얘기하는 강단 같은 것도 있다. 여지껏 어디서도 본 적 없었던 캐릭터“라며 극찬하기도 했다. 모두가 최고의 장면으로 꼽는 설경 씬에 대해서는 “츄지가 눈이 오면 온 사방이 고요해지는 게 좋다고 했는데 그 장면에 음악이 없다. 주인공에 대한 감독님의 섬세한 배려였을까요?”라며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캐릭터의 마음마저 배려하는 섬세한 시선에 대한 사려 깊은 질문을 던졌고, “본인의 목소리도 내지 않고 자기의 마음을 표현하는 장면이다. 눈이 내리면 사방이 고요해져서 좋다던 츄지의 마음을 생각하고 헤아린다면, 그 장면에서는 음악을 넣고 싶어도 넣으면 안 될 것 같았다. 그래서 음악을 넣지 않았다”라는 답변을 이끌어내어 관객들에게 좀 더 풍부하고 깊이 있는 영화적 해설을 전하며 뜨거운 현장 분위기에 열기를 더했다.

iMBC 연예뉴스 사진iMBC 연예뉴스 사진
iMBC 연예뉴스 사진iMBC 연예뉴스 사진

26일(월) 진행된 유지태 배우와의 만남은 “직설적으로 표현하지 않아서 좋았다. 감독님이 오랜 세월 쌓아온 시야로 삶을 관통하는 공유적인 표현들이 담겨 있는 듯한 느낌이 시적으로 표현된 것 같았다. 보통은 영화가 관객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온갖 기술들을 사용하고 자극적으로 완성해가는데, 이 영화는 그런 구석 없이 순수하게 완성된 것 같아 인상적이었다. 그래서 아름다웠다”는 유지태 배우의 열렬한 감상으로 본격 시작되었다. 이후 장성란 영화 저널리스트의 안정적인 진행 아래 상영관을 가득 채운 관객들의 열띤 질문들이 이어졌는데, “똥의 직접적인 묘사로 인한 그로테스크함을 피하기 위해 흑백 영화를 찍었냐고 묻는 질문을 많이 받았다. 오히려 순서는 그 반대다. 언젠가 흑백 영화를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고, 이번에 하라다 미츠오 프로듀서의 자본으로 만든 독립 영화의 형식이었기에 눈치 보지 않고 내가 하고 싶은 걸 해볼 수 있었다. 그렇게 흑백 영화를 만들겠다는 결심을 한 이후에 미술팀이 만든 똥을 실제로 보게 되었는데, 질감이 너무나도 생생해서 흑백 영화로 만들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흑백 영화로 만들어 안심하게 되었다는 사카모토 준지 감독의 사연이 밝혀져 관객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이외에도 제목에 담긴 에피소드, 유지태 배우가 배우로서 욕심났던 캐릭터, 컬러 장면에 대한 연출의도 등의 질문과 답변이 오가며 다채로운 이야기가 이어졌다. 한편, 츄지에게 뜬금없는 순간 ‘세계’에 대한, 어쩌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던지는 겐베이처럼 멀찍이 서서 청춘을 바라보는 시선이 인상적이었다는 장성란 영화 저널리스트의 감상에, 사카모토 준지 감독은 “촬영 당시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세계가 어수선하고 고통스러워하던 시기였다. 그래서 ‘세계’라는 단어에 주목할 수 있었고, 보통은 절망적인 결말을 선호하는 편인데 왠지 이 영화는 산뜻하게 끝내지 않으면 안 될 것만 같았다. 그래서 아무리 가난하고 무시를 당할지라도 자유를 갈망하는 결말을 내고 싶었다. 누군가 그랬다. ‘내일 세계가 멸망할지라도 나는 사과나무 한 그루를 심고 싶다.’ 그 말을 떠올리면서 이 영화를 만들었다”고 답하며 관객들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냈다.

마지막으로 장성란 영화 저널리스트가 “끝이 없는 세계를 담은 영화다. 그 영화가 세계를 만나는 과정에서 우리와의 만남도 이루어졌다. 그게 참 아름답게 느껴진다. 이 기억을 여러분과 오래오래 간직하고 싶다”라는 인사를 전하며 훈훈한 분위기 속에서 GV를 성황리에 종료했다. 영화 ‘오키쿠와 세계’는 전국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iMBC 김혜영 | 사진 제공 : ㈜엣나인필름

※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제, 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