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고객센터 등) 바로가기

정우성 "'오토바이+담배' 영광스럽지 않았던 '비트', 긍정 영향 나누고 싶다" [소셜iN]

기사입력2023-08-13 19:54
  • 트위터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링크 복사하기
정우성이 배우로서 가지고 있는 직업 의식에 대해 언급했다.

iMBC 연예뉴스 사진

13일 유튜브 채널 '요정재형'에는 '그의 필모그래피, 감독 데뷔, 확고한 생각들이 너무 잘생겼다 정우성 잘생겼다 정우성 잘생겼다 정우성 잘생겼다 정우성'이라는 제목의 영상이 업로드됐다.

이날 정우성은 연출자로 나선 첫 장편 영화 '보호자' 관련 이야기부터 데뷔 초 이야기까지 다양한 속내를 털어놓으며 이목을 집중시켰다.

먼저 정우성은 '비트' 때를 떠올리며 "'정우성이 대명사였다', '청춘의 아이콘'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너무 이른 시기에 큰 행복을 맞은 거다. 대표작을. 근데 그때 죽었으면 그냥 레전드로 남았을 텐데 살아야 하지 않나"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이어 그는 "'비트' 끝나고 민이라는 역할을 떠내보내는데 영화 안에서 얘 삶은 외롭고 아무도 모르는, 스쳐 지나가는 한 인생으로 끝나지만, 나는 나랑 닮은 구석이 많은 친구라 '나와 함께 잘 성장해 봐야 되겠다'는 생각을 따로 했다"며 "주변에서 '비트', '비트 정우성' 이럴 때에도 '그건 내가 아니다'라고 생각했다. 나는 나의 길을 찾아가야 된다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정우성은 '비트' 이후 느와르를 하지 않게 된 이유도 밝혔다. 그는 "영화가 갖는 파급력이라는 게 엄청나구나 사회에. 특히 '비트' 같은 경우는 애들이 날 만나면 '형 때문에 오토바이 샀어요', '형 때문에 담배 배웠어요' 이랬는데 그게 전혀 영광스럽지가 않더라"고 당시의 솔직한 심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내가 이렇게 큰 관심과 큰 행운을 빨리 얻었는데 그러면 긍정적인 영향을 함께 나눠야 되겠다고 생각했다. 약간 직업의식이라고 해야 하나"라며 배우로서 갖게 된 철학에 대해 언급했는데, "쓸데없는 거다. 누가 알아 준다고"라고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또 정우성은 "한참 조폭 미화 영화 이런 것들이 많았는데 영화 장르로는 느와르라는 그럴싸한 장르에 속해 있으면서 이제 내용은 조폭 미화이지 않나. 그런 영화를 단 한 편도 안 했다. 그 다음엔 내가 더 해보고 싶은, 할 수 있는 걸 찾아가보자 해서 '똥개'라는 작품을 하게 됐다. 대다수의 팬들은 거기서 나오는 츄리닝 입고 김치 담구고 그런 모습들을 용납 안 해줬다. 그들이 갖고 있는 나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데는 시간이 엄청 걸렸다. 근데 개의치 않았다"며 멋있기만 한 모습을 탈피하고자 했던 노력에 대해 밝히기도 했다.


한편, 정우성의 첫 장편 영화 연출작인 '보호자'는 오는 15일 개봉한다.



iMBC 박혜인 | 유튜브 채널 '요정재형'

※ 이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제, 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등을 금합니다.